세척 밸리데이션 | Cleaning Validation
세척 공정은 클린룸 (Cleanroom) 또는 생산 시설 내 제조 과정, 사용자의 치료과정에서 사용, 오염되는 물질의 제거를 위하여 필수적으로 행하여지는 공정으로서 그 세척절차의 유효성이 파악되어야 한다
포장 공정 이전에 행해지는 세척 공정은 제품의 특성에 따라 사용되는 절삭유, 가공 물질 등을 세척제 또는 초음파 세척을 통하여 제거하거나 미생물의 수를 감소시키고 건조하는 공정이다. 세척 공정 밸리데이션은 세척 공정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며, 세척 후 미생물 수의 허용 가능한 수준 이하로 감소, 공정 물질의 잔류 여부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제조자의 생산 공정에 속한 세척 공정을 검증하는 것과 사용자에게 제시한 세척 방법을 검증하는 것 등 2가지의 세척 검증이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세척 공정 밸리데이션 가이드라인, FDA Guidance 및 ASTM 규격 등 요구사항을 적용하여 검증한다. 건조 공정이 존재한다면 해당 공정도 검증되어야 한다.
제조 과정 및 세척 공정 중 사용물질 : 절삭유, 연마액, 코팅제, 세척제 외 파티클 등 불특정 오염물
사용 과정 중 오염 물질 : 혈액, 체액, 타액, 약물
Cleaning method (세척방법)
제조자 세척: 다조식(4조식 등), 단조식, Overflow type, Batch type
재사용 세척 방법: Manual, Automatic, Combination method (manual + automatic)
Simulation test (인위적 오염)
제조 과정 중 오염 물질을 재현할 수 있는 인공 조제 복합 오염물 (ATS : Artificial test soil)을 세척되기 가장 어려운 제품 위치에 일정량을 오염시켜 세척 후 잔류량을 확인하는 시험이다. 제조자 세척에서 적용 시 리보플라빈을 이용한 Fluorescence test를 실시한다.
Operational Qualification (운전 적격성 평가 OQ)
- 제어부 및 기록계 확인
- 세척기, 건조기의 온도 분포 측정
- 세척기 수조 내 초음파 세기 측정
Performance Qualification (성능 적격성 평가 PQ)
- 세척 공정 절차 정의
- Worst case sample 선정
- 세척 적재패턴 및 적재수량 정의
- 세척수의 품질 확인
- 물리적 시험: 세척/건조 후 외관 확인시험, 건조상태 확인시험
- 이화학 시험: TOC (Total organic carbon)/pH/전도율, 제품 용출물 시험, 세척제 및 공정 물질 (절삭유, 연마액, 코팅제, 세척제) 잔류 시험, 단백질 잔류 시험, 헤모글로빈 잔류 시험, 리보플라빈 잔류 시험 등
- 미생물 시험: 바이오버든 시험, 미생물 한도 시험, 엔도톡신 시험
사용자 세척밸리데이션 | Reprocessing Validation (Cleaning)
멸균, 소독, 사용 또는 멸균 사용에 앞서 사용자에 의해 세척 공정을 수행해야 하는 비멸균 상태로 공급하는 의료기기에 적용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세척공정 절차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사용 후 제품에 묻어있는 환자의 혈액, 체액, 타액, 약물 등의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재사용 의료기기에 필요한 공정으로, 세척 절차는 의료기기 오염 제거를 최적화하는 데 유용할 뿐만 아니라, 세척 후 소독 및 멸균 절차의 안전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재사용 세척 방법: Manual, Automatic, Combination (manual + automatic)
Simulation test (시뮬레이션 시험)
이 시험은 실제 임상에 적용되는 동안 오염 될 수 있는 물질을 재현할 수 있는 인공 조제 복합 오염물 (ATS : Artificial test soil)을 세척되기 가장 어려운 제품 위치에 일정량을 오염시켜 세척 후 잔류량을 확인하는 시험이다. Artificial test soil은 단백질, 혈액, 균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세척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외관검사, 단백질 잔류시험, 헤모글로빈 잔류시험, 바이오버든 시험, 세척수의 TOC 시험, 용출물 시험, 세척제 잔류시험 등 다양하게 이루어진다.
재사용 소독밸리데이션 | Reprocessing Validation (Disinfection)
재사용이 가능한 의료기기에 적용되는 것으로, 사용 후 제품에 오염되어 있는 미생물을 사용자가 소독하는 소독 절차를 확인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주로 멸균하기 어려운 제품에 적용된다.
제품 분류에 따라 소독 레벨을 결정한다
제품분류
- Non critical device: 표면이 손상되지 않은 피부에 닿아 침투하지 않는 의료기기, 환자와 직접 접촉하지 않지만, 환자를 돌보는 동안 미생물 및 혈액 또는 체액으로 오염될 수 있는 장치.
세척만 수행하거나, 환자에게 사용 전 low level disinfection 또는intermediate level disinfection을 수행한다. - Semi-critical device: 손상되지 않은 점막 또는 피부와 접촉하는 의료기기로 일반적으로 조직을관통하지 않는다. 예로는 십이지장 내시경, 기관 내 튜브, 기관지경 후두 블레이드 및 기타 호흡장비 및 위장 내시경이 있다. 재사용하기 전 멸균을 수행하거나 high level disinfection을 수행한다.
- Critical device: 혈류에 직접 도입되거나 사용 중에 조직 등에 접촉하는 의료기기로, 멸균되지 않는 경우 미생물 전염 가능성과 암염 위험이 있는 의료기기이다. 재사용하기 전 세척 및 멸균을 수행하여야 한다.
소독분류
- Low level disinfection: 식물성 박테리아, 일부 곰팡이 및 지질 바이러스를 죽이는 치명적인 공정
- Intermediate level disinfection: virus, mycobacteria, 곰팡이 및 식물성 박테리아를 죽이지만 포자는 제거하지 못하는 치명적인 공정
- High level disinfection: 멸균상태보다 낮은 미생물에 치명적인 공정, 많은 박테리아 포자를 제외하고 모든 형태의 미생물 생명체를 죽임.
Simulation test (시뮬레이션 시험)
이 시험은 일정 수 이상의 미생물을 소독이 되기 가장 어려운 제품 위치에 일정량을 오염시켜 소독 후 미생물의 감소를 확인하는 시험이다. 사용되는 미생물은 식물성 박테리아 (Pseudomonas aeruginosa,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Klebsiella-Enterobacter group), mycobacterium species, thermophilic mycobacterium species이며 소독 level에 따라 다르다. 미생물의 감소, 소독제 잔류 등의 시험이 이루어진다.
- Low level disinfection: 식물성 박테리아 (Pseudomonas aeruginosa,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Klebsiella-Enterobacter group)의 혼합 현택액의 6 log 감소
- Intermediate level disinfection: 식물성 박테리아 (Pseudomonas aeruginosa,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Klebsiella-Enterobacter group)의 혼합 현택액의 6 log 감소 및 mycobacterium species의 3 log 감소, 열소독이 있는 경우 thermophilic mycobacterium species 사용.
- High level disinfection: 식물성 박테리아 (Pseudomonas aeruginosa,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Klebsiella-Enterobacter group)의 혼합 현택액의 6 log 감소 및 mycobacterium species의 6 log 감소, 열소독이 있는 경우 thermophilic mycobacterium species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