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조 과정 및 세척 공정 중 사용물질 : 절삭유, 연마액, 코팅제, 세척제 외 파티클 등 불특정 오염물
  • 사용 과정 중 오염 물질 : 혈액, 체액, 타액, 약물
  • 제어부 및 기록계 확인
  • 세척기, 건조기의 온도 분포 측정
  • 세척기 수조 내 초음파 세기 측정
  • 세척 공정 절차 정의
  • Worst case sample 선정
  • 세척 적재패턴 및 적재수량 정의
  • 세척수의 품질 확인
  • 물리적 시험: 세척/건조 후 외관 확인시험, 건조상태 확인시험
  • 이화학 시험: TOC (Total organic carbon)/pH/전도율, 제품 용출물 시험, 세척제 및 공정 물질 (절삭유, 연마액, 코팅제, 세척제) 잔류 시험, 단백질 잔류 시험, 헤모글로빈 잔류 시험, 리보플라빈 잔류 시험 등
  • 미생물 시험: 바이오버든 시험, 미생물 한도 시험, 엔도톡신 시험


  • Non critical device: 표면이 손상되지 않은 피부에 닿아 침투하지 않는 의료기기, 환자와 직접 접촉하지 않지만, 환자를 돌보는 동안 미생물 및 혈액 또는 체액으로 오염될 수 있는 장치.
    세척만 수행하거나, 환자에게 사용 전 low level disinfection 또는intermediate level disinfection을 수행한다.
  • Semi-critical device: 손상되지 않은 점막 또는 피부와 접촉하는 의료기기로 일반적으로 조직을관통하지 않는다. 예로는 십이지장 내시경, 기관 내 튜브, 기관지경 후두 블레이드 및 기타 호흡장비 및 위장 내시경이 있다. 재사용하기 전 멸균을 수행하거나 high level disinfection을 수행한다.
  • Critical device: 혈류에 직접 도입되거나 사용 중에 조직 등에 접촉하는 의료기기로, 멸균되지 않는 경우 미생물 전염 가능성과 암염 위험이 있는 의료기기이다. 재사용하기 전 세척 및 멸균을 수행하여야 한다.
    • Low level disinfection: 식물성 박테리아, 일부 곰팡이 및 지질 바이러스를 죽이는 치명적인 공정
    • Intermediate level disinfection: virus, mycobacteria, 곰팡이 및 식물성 박테리아를 죽이지만 포자는 제거하지 못하는 치명적인 공정
    • High level disinfection: 멸균상태보다 낮은 미생물에 치명적인 공정, 많은 박테리아 포자를 제외하고 모든 형태의 미생물 생명체를 죽임.
    • Low level disinfection: 식물성 박테리아 (Pseudomonas aeruginosa,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Klebsiella-Enterobacter group)의 혼합 현택액의 6 log 감소
    • Intermediate level disinfection: 식물성 박테리아 (Pseudomonas aeruginosa,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Klebsiella-Enterobacter group)의 혼합 현택액의 6 log 감소 및 mycobacterium species의 3 log 감소, 열소독이 있는 경우 thermophilic mycobacterium species 사용.
    • High level disinfection: 식물성 박테리아 (Pseudomonas aeruginosa,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Klebsiella-Enterobacter group)의 혼합 현택액의 6 log 감소 및 mycobacterium species의 6 log 감소, 열소독이 있는 경우 thermophilic mycobacterium species 사용